간호&기타 42

2012.01.02 경대병원

Waking EEG 중- 심전도는 SA Node의 전기 신호의 리듬을 측정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뇌파는 신경세포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것이다. mV이기 때문에 그래프 상으로 볼 때는 증폭해서 본다. α파보다 느린 것을 서파라고 하고, 반대로 빠른 것을 속파라 한다. α파는 눈을 뜨는 동시에 사라진다. *Build up: 과호흡에 의해 뇌파 서파화 및 진폭증대 -> 정상 *Re-build up: 과호흡후 서파 다시 출현 -> 비정상 - 과호흡을 시켜 혈중 이산화탄소 치를 떨어뜨리면 뇌혈관이 수축되고 뇌허혈상태가 발생하면 가장 저항이 낮은 부위인 병소에서 이상 뇌파가 나타난다. 이런 기전으로 이상뇌파가 증강되거나 아니면 전혀 나타나지 않던 이상 뇌파가 나타난다. 진단명이 Waking EEG라도 Sleep ..

간호&기타 2012.01.02

인공호흡기 제거청구 사건

서울서부지법 2008.7.10. 자 2008카합822 결정 【무의미한연명치료행위중지등가처분】 항고 〈인공호흡기 제거청구 사건〉 [각공2008하,1616] -------------------------------------------------------------------------------- 【판시사항】 [1] 치료 중단으로 환자가 사망하거나 생명이 단축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는 경우, 헌법상 생명권에 기초한 자기결정권으로부터 치료의 중단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도출되는지 여부(소극) [2] 의식불명환자의 치료 중단에 대한 진정한 의사를 추정함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요소 [3] 소위 '식물인간상태'에서 인공호흡기를 부착하고 항생제 투여 등의 치료를 받고 있던 환자에 대하여 그 가족들이 무의미한 ..

간호&기타 2011.07.02

의사의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이상돈(2003)

http://doc3.koreahealthlog.com/768 얼마전 보라매병원사건 항소심에서 법원은 생존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환자보호자의 강력한 퇴원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퇴원시킨 행위를 살인방조죄로 판결하였다. 이 판결은 제1심 판결과는 달리 의사의 퇴원허락과 집행에서 ‘치료중단’의 의미를 제거해버렸다. 그 대신 환자보호자의 퇴원요구와 관철만을 ‘치료중단’이라는 부작위의 살인행위로 평가하고, 의사의 퇴원허락과 지시 및 집행은 그 행위를 돕는 행위로 평가하는 법적 논리를 보여주었다. 의료계로서는 의학적 충고에 반한 퇴원을 허락한 의사의 행위에 대한 법적 비난이 어쨌든 살인죄에서 살인방조죄로 약해진 것은 환영할 일이다. 그렇지만 ‘부작위에 의한 살인방조범’이라는 형법해석학의 이론개념을 면밀하게 알지 ..

간호&기타 2011.07.02

Nurses Often Silent About Physician Mistakes

어쩐지 모를 열등감 때문인지 의사들의 잘못을 지적하지 않는 케이스가 60%라고 한다. (표본이 몇 개 인지는 모르겠다.) 그게 어쩐지 모를 문화적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대상자가 피해를 입기 전에 옆에서 간호사가 문제점을 찔러 준다면 참 좋을 텐데, 그렇다고 굳이 의사들한테 고자질하듯이 이야기 할 필요는 없다. One key for success, Dr. Halverson said, is "escalating the importance of the situation without escalating emotions." That can be done coolly and calmly with the traditional SBAR formula: describe the situation, supply the..

간호&기타 2011.04.03

이런저런 논문

국문요약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간호전문직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임상간호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이직의도 그리고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전문직 발전에 저해요인이 되는 높은 이직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400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8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01년 9월 17일부터 9월 28일까지 12일간이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295부(회수율 98.3%)가 회수되었으나 내용이 미비한 11부를 제외한 284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Arthur(1990)가 개발한 전문직 자아개념 측정도구를 송경애, 노춘희(1996)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

간호&기타 2011.01.26